분류 전체보기 802

천재동 귀향?

울산제일일보 방어진 출신 천재동 선생과 동구의 관심 • 울산제일일보 승인 2021.01.14 22:07 울산에서 ‘증곡 천재동(曾谷 千在東, 1915~2007) 선생’ 하면 장·노년층 일부만 알고 있을지 모른다. 그만큼 잊혀져가던 인물이었다. 알고 보면, 고향이 방어진인 천재동 선생은 울산이 낳은 몇 안 되는 ‘위대한 예인(藝人)’의 반열에 오를 만한 분이다. 교육자이면서도 탈과 토우, 그림과 연극에까지 심취했던 그를 혹자는 ‘한국 근현대사 최초·최고의 예인’이라고 극찬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이른바 ‘고향의 유지들’은 애써 그를 외면해 왔다. 활동무대가 ‘주로 부산’이었다는 지극히 단순한 이유 때문이었다. 사실 그를 ‘부산지역에서 활동한 동래야류 예능 보유자이자 화가, 연극인’으로 아는 사람이 대부분이지..

울산 동구 천재동

지방 > 울산 '증곡 천재동' 울산 동구 문화콘텐츠로 집중 부각한다 천재동 토우 작품 조형물, 방어진항 [울산=뉴시스]박수지 기자 = 울산시 동구가 방어진 출신 문화예술인 증곡(曾谷) 천재동(1915~2007)을 지역 문화 콘텐츠로 육성한다. 지난달 증곡 천재동의 토우 작품을 방어진항 중진길 입구에 설치했다. 방어진항 관광루트 거점시설 조성을 위한 방어진 도시재생사업의 하나로 이뤄졌다. 이 조형물은 천재동이 1990년대에 제작한 소형 토우 '가자가자 장에가자 개기사러 장에가자'를 복원한 것이다. 높이 2.5m 청동 소재로 제작됐으며, 엄마와 아이가 머리에 생선을 이고 장에 가는 모습을 해학적으로 표현했다. 13일 오전에는 동구청장실에서 '증곡 천재동 작가 문화콘텐츠 보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문화예..

천재동 문화콘텐츠

정천석 울산 동구청장, 천재동 작가 문화콘텐츠 조성 현장방문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21.01.12 23:45 • 댓글 정천석 동구청장이 12일 구청 관계자들과 동구 방어진항을 찾아 지역출신 천재동 작가의 문화콘텐츠 조성 관련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저작권자 © 울산제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울산제일일보(http://www.ujeil.com)

몰상식

헌 신짝처럼 버려지다 10년이면 산천도 변한다는 속담이 있다. 나는 30년 간 『동래야류』『동래지신밟기』『동래학춤』이 세 종목을 하루도 결근 없이 연출에 임해왔다. 전수생 3세대를 그치면서 나이나 모습에서 세월의 흔적을 조금도 의식하지 못하고 바쁘게 지나온 시간들이 나에게 따뜻하게 안겨 오는 것은 내가 정립한 『동래야류』, 내가 무보를 작성하고 안무한 『동래학춤』 과 『동래학춤5인조군무』 그리고 역시 내가 정립한 『동래지신밟기』 이 네 가지 놀이 등이다. 연 100명의 연희자들을 일사불란하게 지도 연출해 오면서 오직 신뢰로서 존대를 받아온 만족감은 내 삶의 총채적 기쁨이 아닐 수 없다. 사단법인체라면 엄연히 이사회가 있기 마련이다. 재정(財政)과 인사 등 모든 사안을 이사회를 거쳐 결정하고 집행한다는 것..

조택원과 최승희

'농약 먹은 학'이 안 되길 과거 일본(日本) 석정막(石井莫)의 문하에 들어가서 발레를 공부한 조택원(措澤元)과 최승희(崔承姬)가 있었고 국내에서는 배구자(裵龜子) 이 세분은 우리 춤을 계승하고 보급하는데 크게 공헌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특히 매혹적인 춤은 물론 팔등신에다 미모까지 갖춘 최승희에게 당할 재간이 없던 조택원은 국제 창녀라는 욕설을 퍼붓고 물러서서 결국 이시이 바의 양녀 이시이 미도리와 짝이 되어 밀레(Mllet 프 1814~1875)의 그림 『만종』과 로댕(Rodin 프 1840~1917)의 조각을 주제로 한 두 창작무용으로 일약 세계적인 발레리나가 되었고, 한편 최승희는 타고난 매혹적인 미모로 한국무용의 우아한 우수성을 세계일주 공연을 통해서 그 명성을 널리 날렸으며, 배구자는 국내에서..